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API ) 란 ?
- 한 프로그램에서 다른 프로그램으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방법 -
이라고 한다. 이게 무슨 개소리인지 잘 모르겠어서 자세히 살펴보려고 한다.
우선 저 데이터 주고받는 방법 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보자
먹을때에 살아있음을 느끼는 돼지(me)가 식당에 가서 주문을 한다고 치자
식당 주인에게 내가 먹고싶은거를 즉흥적으로 주문하는것이 아닌 그 식당만의 메뉴 ( 즉 메뉴얼 ) 이 있고 그것을 보고
내가 주문을 하게 될것이다.
그 메뉴를 우리는 그 식당의 API 라고 정의 한다.
즉 이 식당의 API 는 === 식당과 손님이 음식을 주고받기 위한 방법 인 셈이다.
이걸 컴퓨터로 적용 시키자면 어떤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서버가 만들어져 있다. 여기서 웹 사용자는 이렇게 만들 어져있는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API 를 보고 사용하는 것이다.
그래서 사실 서버에서 API 를 주고 받는 방법이란 그 프로그램에서의 코드 인것이다.
이쁘게 잘 작성된 코드가 내가 보고자하는 또는 사용하고자하는 그러한 API를 클릭하는 순간 DB ( 데이터 저장소 ) 에서 원하는것을 뽑아 보여주는것이다.
근데 여기서 드는 의문이 그럼 저 이쁜 코드를 웹서비스 사용자가 도대체 어떻게 실행 시키는지 이다. 사용자가 작성한 코드도 아니고 그저 작성되어 져있는 코드를 사용자가 대신 실행 시켜야 한다니 해킹이 아니면 불가능해 보인다.
그래서 서비스용 프로그램 안에서의 코드들은 사용자의 반응에 따라 미리 짜놓은 코드를 실행 해놓도록 함수의 형태로 코드를 짜놓는 것이다.
예를 들어 app.get ( 여기 url 로 get 요청할시 , function 블라블라 ) { 블라블라 이 사진 클릭했네? 그럼 이 코드 실행해주세요 ~~ 코드 블라블라 ; } 이런식으로 url 클릭시 어떤 함수가 발동되는 것 처럼 말이다.
API 가 가져야할 내용
1. 요청 방식이 들어가야한다 ( Method )
2. 무슨 자료를 요청할지 ( endpoint )
3. 자료요청에 필요한 추가정보
+ ( 웹의 경우 REST API 라고 좀 더 쉽고 이해가 쉬운 API 작성 방법론도 있음 )
사실 사용자가 브라우저라는 도구를 통해 API 를 직접 요청할 수 도 있지만
우리 친절한 개발자들은 이미지나 버튼에 자동으로 API를 요청할 수 있게 숨겨놨음
그걸 이용함으로써 과정이 생김 :: User 가 코드 작성( 이미지 클릭 ) -----> API 에 GET 요청 ----> 실행해줄게~
< API 종류 >
public API : 누구나 사용가능한 공개 API
private API : 사내에서 몰래쓰는 API
partner API : 미리 정해둔 놈만 쓰는 API
그리고 사실 웹 페이지말고도 API 를 가질수 있음
ex) Windows API : 이거 쓰면 윈도우 운영체제 기능 사용가능
Database 관리프로그램 API : 이거 쓰면 DB 입축력 기능들 사용 가능
API 비지니스 모델로 돈도 벌 수 있음
ex ) naver cloud platform : 네이버 파파고 유료 버전 ~
API 마켓 플레이스에서 팔 수도 있음
'HTML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 5 시멘틱 태그와 웹 표준을 지키는 이유 (0) | 2024.02.07 |
---|---|
웹 이미지란 ? (0) | 2024.01.19 |
Display 속성 맛보기 (0) | 2024.01.19 |